목차

음운의 축약

문제 제기

'ㅣ'와 '어'가 만나 'ㅕ'가 되는 것, 'ㅗ/ㅜ'와 'ㅏ/ㅓ'가 만나 'ㅘ/ㅝ'가 되는 것을 지금까지 '모음 축약'으로 가르쳐 왔는데, EBS와 수능에서 이것을 'j 반모음화', 'w 반모음화'로 출제(해설)하고 있다.
'기어>겨', '쏘아>쏴'는 축약인가, 대치인가?

축약

대치

관전 포인트

  1. '자음접변'이라는 문법 용어가 있었다. 자음이 '접'하면 '변'한다는 뜻이다. '국물>궁물', '신라>실라' 같은 것들. 그러다가 자음의 발음 위치나 방법이 '같아진다'는 점에서 '변화'보다는 '동화'가 더 정확하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자음접변'은 사라지고 '자음동화'가 되었다.
    1. 그런데 '자음동화'에도 방법동화, 위치동화, 순행동화, 역행동화, 상호동화, 완전동화, 불완전동화 등 다양한 현상이 섞여 있기 때문에 더 정확한 용어가 필요해졌다.
    2. 결국 자음동화는 현재 비음화 '국물>궁물'과 유음화 '신라>실라'로 나누어졌다.
    3. 앞으로는 비음화도 비음동화 '국물>궁물'과 비음화 '종로>종노'로 세분화될 것이다.
    4. 또한 유음화도 유음동화 '신라>실라'와 유음화 '목단>모란', '한아버지>할아버지', '곤난>곤란', '존나>졸라'로 세분화될 것이다.(다만, '유음화'는 불규칙하므로 교과서에 실리지는 않을 듯)
    5. '-화'와 '-동화'를 구분하는 것은 'ㅣ모음 역행동화'에서도 중요한 포인트이다. '고기>괴기', '난장이>난쟁이'는 분명 후행음절의 '기/이'에 동화된 'ㅣ모음 역행동화'이다. 그러나 '소주>쐬주'에서 'ㅗ>ㅚ'는 동화주가 없으므로 단순히 '전설모음화'가 된다.
  2. '말음법칙'이라는 문법 용어가 있었다. '말음'에 오는 음소의 변동에 대한 법칙이다. '말음'이 음절말인지 단어말인지 불분명해서 '음절의 끝소리 규칙'으로 바뀌었다.
    1. 그런데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는 대치(대표음되기=평파열음화)와 탈락(자음군단순화=겹받침탈락)이라는 다른 현상이 섞여 있어서 더 정확한 용어가 필요해졌다.
    2. 결국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현재 '음절말평파열음화'와 '자음군단순화'으로 정착되고 있다.
    3. '음절말평파열음화'를 '내파음화/불파음화'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건 음소 단위가 아닌 '음성' 단위의 표현이므로 적절하지 않다. '평파열음'이 어려우므로 중학생들에게는 '대표음되기' 정도로 가르치는 게 어떨지.
    4. '자음군단순화'는 초성에서의 탈락인지 종성에서의 탈락인지 구별이 안 되므로 '겹받침탈락'이 더 맞는 표현인 듯하다.
  3. 음운의 축약 중에서 '모음 축약' 부분이 바로 지금 이러한 변환기를 맞이한 것 같다. 현행 교육과정의 주류 입장은 '반모음'을 '반자음'으로 보며, '이중모음'은 두 개의 음운으로 본다. 그래서 '기어>기여'는 '대치(이중모음화)'가 아닌 '첨가(ㅣ반모음첨가)'로 , '주어>줘'는 '축약(모음 축약)'이 아닌 '대치(ㅜ반모음화)'로 본다. 문제 제기에서 언급한 EBS도 이러한 입장을 반영한 듯하다.

모음 축약은 없는가

자음 축약은 '축약'인가

결론

다른 관점

  1. 모음충돌회피라는 단일 설명으로 본다면, 아래의 '축약, 탈락, 대치, 첨가'가 모두 '모음 충돌 회피'라는 같은 현상이다.
    1. 아이>ㅏㅣ>애 : 음운 축약(각종 방언에서는 '아이[아:]'처럼 'ㅣ' 탈락과 보상적 장모음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2. 쓰어>ㅡㅓ>써 : 음운 탈락
    3. 보아>ㅗㅏ>봐 : 음운 대치(오이>외 따위)
    4. 지이산>ㅣㅣ>지리산 : 음운 첨가(폐염>폐렴 따위)
  2. 다만, '모음 충돌 회피'로만 설명하면, 음운 변동의 출력형을 예측할 수가 없다는 큰 약점이 있다. 그래서 '대치, 탈락, 축약, 첨가'가 학교 문법에서는 의미 있는 범주로 사용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