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꽂히다[꼬치다]의 음운 변동 ====== ===== 논란 ===== 꽂히다[꼬치다]의 발음은 다음 두 가지로 설명됩니다. [설명1]평파열음화>격음화>구개음화 [설명2]격음화 지난 2016년에 치러진 수능에서 [2]의 설명만을 지지하는 문항이 출제되어 논란이 컸지요.\\ 그리고 그 논란의 중심에는"국립국어원([[http://korean.go.kr|http://korean.go.kr]])"이 있었습니다. 국립국어원의 묻고답하기 코너인 "온라인가나다"에서는 줄곧 [1]로 답을 해 왔기 때문이죠.\\ 다양한 탐구를 하라고 하는 문법의 교육과정과 무관하게\\ 하나의 정답만을 추구하는 수능의 문법 문항에 대하여\\ 국립국어원이 견제를 해 줄 것으로 믿었으나\\ 국립국어원은 오히려 수능의 편을 들어줍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그동안(10년 이상의 기간 동안) 온라인가나다에 답했던 것은 모두 틀렸다. 미안하다."라는 내용의 사과문을 올립니다. {{:음운론:001.jpg?nolink|}} 그리고 지난 10년 동안의 '꽂히다, 젖히다, 잊히다, ...'와 같은 질문의 모든 답변을 수정하기 시작합니다. {{:음운론:002.jpg?nolink|}} 다만 국립국어원이 발간한 어문규정집, 즉 실물 책자는 어떻게 손댈 수도 없고 회수할 수도 없었지요. {{:음운론:003.jpg?nolink|}} 이 책의 "로마자 표기법"에 보면 다음과 같이 '맞히다'가 3.구개음화가 되는 경우의 예시로 들어 있습니다.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제1항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변화의 결과에 따라 다음 각 호와 같이 적는다. 3. 구개음화가 되는 경우 <보기> 해돋이[해도지] haedoji 같이[가치] gachi 맞히다[마치다] machida 맞히다[마치다]는 위의 [설명1]처럼 맏히다>마티다>마치다> 의 과정을 겪었다고 해석해 왔던 것이지요.\\ 이것이 논란이 되자 국립국어원에서는 '맞히다'를 '굳히다'로 바꿨습니다. {{:음운론:004.png?nolink|}} 그러니까 국립국어원에서 [설명1]을 지지하는 실물 근거는 여전히 남아 있는 셈인데, 국립국어원이 사과문을 올리고, 과거 답변을 수정하는 등 이렇게까지 저자세로 나올 이유는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국립국어원에서 최초에 그러니까 1980년대에의 어문 규범에서는 '맞히다'를 [설명1]구개음화로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2000년에 '로마자 표기법'을 개정하면서 즉, Pusan 이 Busan 이 될 때, '맞히다'를 [설명1]구개음화의 예로 삽입하였습니다. 그만큼 [설명1]과 [설명2]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논쟁의 여지가 있다는 뜻입니다. <1984년 로마자 표기법> {{:음운론:로마자_아주옛날1.png?nolink&200|}}{{:음운론:로마자_아주옛날339쪽.png?nolink&400|}} <2000년 로마자 표기법> {{:음운론:로마자_최근직전.png?nolink&300|}}{{:음운론:로마자_최근직전400쪽.png?nolink&400|}} ===== 설명 ===== 그러나 공시적으로만 보자면 [설명2]이 더 합리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음운 현상에 대한 여러 설명이 가능하지만 '꽂히다' 하나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더 적은 이론으로 더 많은 현상을 설명하는 '경제성'이 있는 설명이 살아남기 마련이지요. [설명1]평파열음화>격음화>구개음화\\ [설명2]격음화 묻히다[무ㄷ히다>무티다>무치다]를 보면, 앞 음절의 받침소리가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넘어가는 건 확실합니다.\\ 핵심은 '꽂'이 '히'를 만날 때, 'ㄷ'으로 변동한 다음에 만나느냐, 'ㅈ'인 채로 만나느냐의 문제입니다.\\ '옷'으로 비교해 봅시다. 옷이[오시]: 옷이>오ㅅㅣ>오시 -> 바로 넘어감 \\ 옷 안[오단]: 옷 안>옫 안> 오 ㄷㅏㄴ> -> 'ㄷ'으로 변동한 다음에 넘어감. '옷'은 그대로이므로 바로 넘어가는 '이'와 변동한 다음에 넘어가는 '안'의 성질을 '꽂히다'의 '히'와 비교할 수 있겠지요?\\ 꽂아지다[꼬자지다]: 꽂아지다>꼬ㅈㅏ지다>꼬자지다 -> 바로 넘어감\\ 꽂아지다[꼬다지다]: 꽂아지다>꼳아지다>꼬ㄷㅏ지다>꼬다지다 -> 변동한 다음에 넘어감. '-아지다'의 '아'도 바로 넘어가네요. 변동한 다음에 넘어가면 [꼬다지다]라는 이상한 발음이 나오네요.\\ 받침 소리가 변동 없이 바로 넘어가는 '-이'와 '-아'의 공통점은? 바로 '형식형태소'라는 점입니다.\\ '안'이라는 실질형태소를 만나면 받침소리가 '평파열음화'로 변동한 다음에 다음 음절의 첫소리로 넘어가는 것입니다. [설명] 뒤 음절이 실질형태소이면 받침소리가 '평파열음화'로 변동한 다음에 뒤 음절의 첫소리로 넘어간다. 뒤 음절이 형식형태소이면 받침소리가 그대로 뒤 음절의 첫소리로 넘어간다.\\ [적용] '꽂히다'의 '-히-'는 형식형태소이다. 그러면 '꽂-'의 'ㅈ'은 변동 없이 그대로 '-히-'의 첫소리와 만나 '-치-'가 된다. 이런 식으로 설명이 가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