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강호정 : '내 마음은 호수요'는 비유법인데 '삶이란 나 아닌 누군가에게 연탄한장되는 것' 또 비유법일까요 상징아닌가요;; 김민지 : 은유적 표현 안에 상징적 표현도 드러나는 거 아닐까요? 삶(A)은 나 아닌 누군가에게 연탄 한장되는 것(B). 에서 A는 B이다라는 형식의 은유법이, 연탄 한장이라는 표현은 원관념이 숨어있어 독자로 하여금 여러 가지 의미를 떠올리게 하는 상징적인 표현이 모두 쓰인 것 아닐까해요(궁금) 강호정 : 그렇게 보면 내 마음은 호수요도 비유와 상징이 함께 쓰인 걸까요 호수에도 다양한 의미가 있잖아요 ㅠ 엄청헷갈립니다 ㅠ 한순복체칠리아 : 상징은 추상적인 대상을 구체적인 사물로 표현하면서 그 의미를 시를 읽는 이마다 다르게 상상할 수 있으며 비유의 표현, 즉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관계가 드러나지 않는 방식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내 마음은 호수요. 비유적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관계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고, 내 마음의 상태를 표현한 것이지요. 호수가 무엇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는 없으니까요. 미나 : 글고보니 표현형식적 부분에서 핵심적 차이가 있긴하네요.. 그치만 추상을 구체로 표현한다는 요건에는 마음은호수요도 해당되는것 같지않나요? 내용상은 헷갈리거든요ㅠ Khatara Bang : 한순복 선생님 말씀대로 상징은 원관념이 드러나지 않고 보조관념만 제시될 때를 일컬으니 그렇게 구별하시면 될 듯 합니다~ 배희자 : 한순복샘 말씀에 덧붙이자면, 상징은 그 안에서 그것 자체로 의미가 있고 소재로 사용이 되는 것이에요. <동백꽃> 소설에서 말하자면 '알싸한 동백꽃'은 소재로 이용되기도 했지만 점순이와 나의 관계 전환을 보여주는 상징물이기도 하지요. <오우가>에서 소나무는 그것 자체로 시인이 좋아하는 나무이자 지조와 절개라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지요. '내 마음은 호수'는 내 마음을 이야기하려고 호수에 빗대었을 뿐이니 비유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의인법

정말 부끄럽지만 질문 하나 올려요. '널 사랑한 슬픈 영혼' 에 의인법이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영혼은 이미 정신을 이야기하는 거고 영혼은 슬프거나 사랑할 수 있을 거 같은데 의인이라고 하기엔 전 무리가 있을 거 같아 질문합니다. 아이들이 질문하는데 넘 애매하더라구요.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인 것처럼”이니… 인정할 수 있지 않을까요?

답은 저도 모르겠고 저라면 이렇게 말하겠어요. “의인이면 인간이 아닌 것을 인간에 비유하는 거다. 네 생각에 인간의 영혼은 인간인 것 같냐, 아닌 것 같냐?” “인간이요” → 그럼 의인이 아니구나 “인간 아니요” → 그럼 의인법이구나

영혼의 주인이 사람의 일부라면 의인화는 아닌 것 같습니다. 인간에게 영혼이 있는지 없는지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인간이 영혼은 아니지 않나요? 영혼이 있다는 의견도 인간에게만 영혼이 있느냐 다른 존재에게도 영혼이 있느냐 분분하고요 인간만이 보이는 육체적 반응도 의인법으로 보는데, 그 육체적 반응은 감성이나 영혼의 반응이 체화되어 드러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새가 운다, 새가 슬퍼했다 모두 의인화가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