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화 교육 ===== | |^ 혼자 말하기 ^ 둘이 말하기 ^ 여럿이 말하기 ^ ^ 공적 화법 ^ 설득 | 연설 | 면접 | [[토론_수업|토론]], [[토의_수업|토의]], [[협상_교육|협상]] | ^ ::: ^ 정보전달 | [[강연_수업|강연]], 강의 | [[면담_수업|인터뷰]] | 회의 | ^ 사적 화법 || 독백 | **[[대화_교육|대화]]**, [[면담_수업|면담]], 상담 | 집단 상담 | ===== 개괄 ===== * 대화는 두 사람 이상의 참여자가 특별한 절차 없이 발화 순서를 교대하는 화법이다. * 대화에는 사실 지향적 대화와 관계 지향적 대화가 있다. * 사실 지향적 대화의 예는 다음과 같다. 여: 나 아까 신도림역에서 영숙이 만났어. 남: 왜? 여: 우연히 만났지. 남: 만나서 뭐했는데? * 관계 지향적 대화의 예는 다음과 같다. 여: 나 아까 신도림역에서 영숙이 만났어. 남: 신도림역에서 영숙이 만났어? 여: 응 완전 신기하지? 남: 완전 신기하네. {{ ::화법:여자와_대화하는_방법.mp4 |사실 지향적 대화와 관계 지향적 대화 비교 영상}} ===== 대화 교육 내용 수립을 위하여 ===== ===== 교육과정 ===== * 대화는 말하기와 듣기로 이루어진다. * 말하기 교육과정에서는 **상대를 배려하는 말하기** **상황과 목적에 맞는 말하기** **다양한 화법으로 말하기**를 강조한다. * 듣기 교육과정에서는 **공감적 듣기**를 강조한다. ===== 대안적 비판 ===== ==== 공감적 듣기라는 말의 한계 ==== | 관점1 ^ 안 듣기 ^ 듣기 || | ::: | 안 듣기 | 비공감적 듣기 | 잘 듣기=공감적 듣기 | | 관점2 ^ 안 듣기 |^ 듣기(=공감적 듣기) | * 관점1에 따르면 마치 '비공감적 듣기'도 '듣기'의 일종으로 보인다. * 관점2를 취해야만이 '비공감적 듣기'라는 그릇된 행동이 사라진다. '비공감적 듣기'는 대화 참여자의 마음을 허전하게 하고 서운하게 하고 때로는 상처를 주고 대화가 끝난 뒤에 허무함을 준다. * 공감적 듣기 안에는 '응, 그래, 그랬구나, OO라는 말이구나' 등의 반영/요약/재진술 같은 언어적 반응 고개 끄덕임, 눈 맞추기, 몸 기울기 같은 비언어적 반응이 포함된다. * 이 때 '응, 그래, 그랬구나, OO라는 말이구나'는 '발화'에 포함되지만, 대화의 구조에서 '말하기'라고 부르기에는 부족하다. 아직 발화 순서 교대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듣기에 포함된다. ==== 반응으로서의 말하기 ==== * 공감적 듣기가 끝나면, 청자는 두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다. 자기 생각을 '생산/표현'하여 말하거나, 방금 들은 내용에 대하여 **반응으로서의 말하기**를 수행하거나. * 청자가 자기 생각을 생산/표현하여 말하기를 선택한 경우, 청자가 화제를 주도하며, 대화에서 새로운 화제를 주도하는 화자로 순서 교대가 완료된다. * 청자가 반응으로서의 말하기를 선택한 경우, 화제는 방금 들은 말에 대한 청자 자신의 감정/심정/기분/욕구 등이 되며, 대화에서 상대의 말에 반응하는 화자로 순서 교대가 완료된다. * 화자의 말을 들은 청자가 좋은 기분이 들면 반응으로서 '칭찬의 말하기'를 하면 되고, 화자의 말을 들은 청자가 나쁜 기분이 들면 '지적의 말하기'를 하면 된다. ===== 대화 교육의 내용 ===== 대화 교육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대화의 구조에 대한 지식과, 각 구조에서 화자와 청자의 '말하기 요령' 즉, ⓐⓑⓒⓓ에 해당하는 '화법'이 된다. ==== 사실 지향적 대화 ==== | |^ 외면 ^ 내면 ^ | 화자 | ⓐ자기 생각으로 화제를 주도한다. | 말하기 | 말하기 | | 청자 | 화자의 말이 끝날 때까지 듣고 있다. | 침묵 | 듣기 | | 청자 | ⓐ자기 생각으로 화제를 주도한다. | 말하기 | 말하기 | | 반복한다 |||| ==== 관계 지향적 대화 ==== | |^ 외면 ^ 내면 ^ | 화자 | ⓐ자기 생각으로 화제를 주도한다. | 말하기 | 말하기 | | 청자 | ⓑ화자에게 듣기(공감적 듣기)를 수행한다. | 말하기 | 듣기 | | 좋은 기분이 드는 경우 |||| | 청자 | ⓒ그 반응으로서 칭찬하는 말하기를 수행한다. | 말하기 | 말하기 | | 나쁜 기분이 드는 경우 |||| | 청자 | ⓓ그 반응으로서 지적하는 말하기를 수행한다. | 말하기 | 말하기 | * ⓐ 맥락과 상황과 상대에 맞게 화제를 선택하고 조리있게 표현한다. * ⓑ 공감적 듣기 3단계 - 상대의 말을 그대로 따라 말해준다. - 상대의 기분을 대신 말해준다. - 상대가 진짜 원하는 것을 찾아 대신 말해준다. * ⓒ 칭찬하는 반응 3단계 - 상대의 말이나 행동 중 기분 좋아진 부분말을 알려준다. - 그 속에 담긴 인간의 성품을 찾아 말해준다. - 나 자신 또는 주위 사람이 받게 되는 영향력을 말해준다. * ⓓ 지적하는 반응 3단계 - 상대의 말 중 기분 나쁜 부분을 '나는 - 들었어.'로 말해준다. - 내가 느낀 기분/감정/느낌을 말해준다. - 내가 진짜 원하는 것을 '원하는 상태'의 모습으로 말해준다. ===== 대화 교육의 방법 ===== * ⓐⓑⓒⓓ에 해당하는 '화법'을 교사가 설명하고, 학생들에게 시범을 보이고, 학생들은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서 연습해 보고, 나중에는 학생 스스로 할 수 있게 된다. *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가 일상생활에서 ⓐⓑⓒⓓ에 해당하는 '화법'을 자꾸 써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잠재적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수업 시간에는 **"공감적 대화를 하거라."**라고 가르친 교사가 쉬는 시간에는 **비공감적 화법**을 쓴다면, 아이들이 둘 중 무엇을 내면화할지는 뻔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