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다음 판 양쪽 다음 판
공감적대화 [2019/06/17 08:02]
211.182.119.125 [공감적 듣기가 필요한 상황]
공감적대화 [2019/06/17 08:12]
211.182.119.125
줄 62: 줄 62:
   교사: (3단계) 네가 진짜 원하는 대학 입시에서 실패하지 않고 나중에 후회하지 않을 선택을 하고 싶다는 것이구나.   교사: (3단계) 네가 진짜 원하는 대학 입시에서 실패하지 않고 나중에 후회하지 않을 선택을 하고 싶다는 것이구나.
 === <​공감적 듣기 하기 전> (예능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일부). === === <​공감적 듣기 하기 전> (예능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일부). ===
-{{:​공감:​ai1.ogv|&640}}+{{:​공감:​ai1.ogv?640x480}}
  
 === <​공감적 듣기 하고 나면> (예능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일부). === === <​공감적 듣기 하고 나면> (예능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 일부). ===
-{{::ai2.ogv|&640}}+{{:공감:ai2.ogv?640x480}}
  
  ​공감적 듣기를 교사가 실천하는 것만큼이나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수업 중에 딴짓하는 학생에게 교사가 지적을 한다면 다음과 같이 된다. 학생이 이와 같이 교사의 말을 들을 수 있으면 수업 중 갈등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평화로운 교실이 된다.  ​공감적 듣기를 교사가 실천하는 것만큼이나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수업 중에 딴짓하는 학생에게 교사가 지적을 한다면 다음과 같이 된다. 학생이 이와 같이 교사의 말을 들을 수 있으면 수업 중 갈등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평화로운 교실이 된다.
줄 102: 줄 102:
   ​   ​
 ===== 공감적 듣기의 응용 ===== ===== 공감적 듣기의 응용 =====
-{{:​공감:​yoja.ogv|&640}}+{{:​공감:​yoja.ogv?640x480}}
  
 ====== 2. 공감적 말하기 ====== ====== 2. 공감적 말하기 ======
줄 135: 줄 135:
  
 === <​공감적 말하기>​ (시트콤 <럭키 루이> 일부) === === <​공감적 말하기>​ (시트콤 <럭키 루이> 일부) ===
-{{:​공감:​rui.ogv|&640}}+{{:​공감:​rui.ogv?640x480}}
  
 === <​공감적 말하기 대화 분석> === === <​공감적 말하기 대화 분석> ===